기본 사용 명령어
$rsync -avz /abc/def /xyz
/abc/def를 /xyz 디렉토리 하위에 복사하는것이다.
/xyz/def 하위에 def디렉토리가 복사된다
만약 /abc/def에서 삭제된 것을 /xyz/def에서도 삭제되도록 --delete 옵션을 추가한다.
$rsync -avz --delete /abc/def /xyzrsync의 장점은 ssh로 다른 서버에 접속해서 로컬 컴퓨터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.
 
예를 들어 abc.com의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.
 
rsync -avz --delete -e ssh root@abc.com:/abc/def /xyz 
도메인 대신 IP를 적어도 되고,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면 호스트네임을 적어도 됩니다.
 
 
 
리눅스 rsync
 
1. rsync, xinetd 설치
  - rpm -qa | grep rsync, rpm -qa | grep xinetd  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
  - 없으면 yum install rsync, yum install xinetd
2. rsync 서버 설정
  - vi /etc/xinetd.d/rsync
  - disable 부분을 no 로 바꾼다.

3. rsync.conf 설정
  - vi /etc/rsyncd.conf

[bluemary]  <-- 사용할 rsync 서비스 이름
path = /home/bluemary  <-- 데이터 원본 경로
comment = bluemary       <-- zhapsxm
uid = nobody                  <-- 권한 사용자
gid = nobody                  <-- 권한 그룹
hosts allow = 192.168.1.22   <-- rsync 클라이언트 IP. 허용할 클라이언트 IP
max connections = 3           <-- 최대 연결 수
timeout = 300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-- timeout
4. 서비스 재시작
  - /etc/init.d/xinetd restart
5. 방화벽 확인
  ** rsync는 873 포트를 이용하므로, 873포트를 iptables에서 열어준다
  - /etc/sysconfig/iptables 에서 873포트 오픈 후 iptables restart
*****  클라이언트 설정 *****
1. rsync 서버 접속 여부 확인
  - telnet 서버IP 873      ex) telnet 192.168.1.2 873
  telnet을 이용하여 873 포트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확인
2. rsync 실행
  rsync -avz [서버ip]::[서비스명] 저장디렉토리
  rsync -avz 192.168.1.2::bluemary /home
'하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Hadoop 분산처리모드 (0) | 2015.08.20 | 
|---|---|
| Hadoop hdfs 개념과 url로 데이터 읽기 (0) | 2015.08.20 | 
| Hadoop 설치 (0) | 2015.08.20 | 
| sudo,su , su- (0) | 2014.06.05 | 
| 우분투 apt-get으로 자바설치 명령어 (0) | 2013.11.21 |